Conference Agenda

Overview and details of the sessions of this conference. Please select a date or location to show only sessions at that day or location. Please select a single session for detailed view (with abstracts and downloads if available).

Please note that all times are shown in the time zone of the conference. The current conference time is: 1st Aug 2025, 10:07:42pm KST

 
Only Sessions at Date / Time 
 
 
Session Overview
Session
(277) Dongguk Univ: Korean Buddhist Literature
Time:
Wednesday, 30/July/2025:
1:30pm - 3:00pm

Location: KINTEX 1 204

260 people KINTEX room number 204

Show help for 'Increase or decrease the abstract text size'
Presentations
ID: 1766 / 277: 1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Topics: K1. Group Proposal
Keywords: TBA

The Birt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Buddhism – Seokjeon, Manhae, and Midang’s Buddism(한국현대 문학의 탄생과 -석전, 만해, 미당의 불교)

Chunsik Kim

Dongguk University

In the process where Western literature came to be equated with modern

literature—and modernity itself was expressed largely as a wholesale

transplantation of Western thought and culture—what tends to be overlooked is

how Buddhism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raditionalism and cultural

nationalism in the early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the most traditional of

religions, Buddhism gradually evolved into a form of modern knowledge and

discourse, exerting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interiorit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Buddhism influenced Korean modern

literature,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figures of Seokjeon (Bak Han-yong), Han

Yong-un (Manhae), and Seo Jeong-ju (Midang). It situates their literary work within

the broader historical process of Buddhism’s modernization, which served as a key

medium linking their thought and writing.

In the context of the profound crisis and upheaval that marked the era,

Seokjeon held a central position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modern literature. He served as a crucial figure connecting disparate systems

—“tradition” and “modernity”—under the shared framework of “Joseon” as a

cultural and political entity. Just as the tension between “mind-only” (yusim) and

“the Beloved” (nim), or “consciousness” and “silence,” reveals that any symbolic

representation is not a synthesis of homogeneous elements but a stitching together

of conflicting impulses, Han Yong-un’s “Beloved” can be interpreted as a literary

object that embodies “Joseon,” “Buddhism,” “tradition,” and “truth.”

What is often ignored in interpretatio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s a mere

product of Western transplantation is the influence of preexisting cultural

traditions in the process by which modernity was translated into concrete literary

symbols. From around 1915, modern Buddhist intellectuals began to actively shape

this cultural tradition.

With the lifting of the 1895 ban on monks entering cities (Seungni Ipseong

Geumji-ryeong), Buddhist religious and cultural activities finally became possible in

urban centers like Hanyang (Seoul) and Gyeongseong (colonial-era Seoul). As

Buddhism sought to reform itself into a modern religion, its greatest tasks included

acquiring new knowledge, establishing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ming

unified organizations, and developing modern print and publishing infrastructures.

During the 1910s in colonial Gyeongseong, Buddhist activities naturally converged

with the literary world—then at the center of cultural production. The fact that

writers like Yang Geon-sik, Choe Nam-seon, Jeong In-bo, and Yi Kwang-su

interacted with or were introduced to Buddhism reflects this convergence.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increasingly shifted from being a secluded monastic

pursuit to a form of urban cultural activism and mass religion, necessitating

modern institutional restructuring of the sangha (monastic order) and emphasizing

the need for education and modernization.

For Han Yong-un, this Buddhist reform (yusin) was rooted in Seon (Zen) and the

philosophy of mind-only (yusim), and extended into culture, politics, education,

and thought. Buddhism, for him, was a force for modern transformation.

In August 1968, Seo Jeong-ju (Midang) published his fifth collection, Dongcheon

(Eastern Heaven), and in its preface (“A Word from the Poet”), he revealed that

the poetic experimentation begun in his fourth collection, Silla Grass, had reached

a degree of accomplishment. Of particular note is his admission that h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unique metaphoric techniques learned from Buddhism.”

As he himself called it “true scenery” (jingyeong), the collections Silla Grass and

Dongcheon—both published in the 1960s—represent the peak of Seo’s poetic

achievement.

At the core of Seo Jeong-ju’s poetic mastery lies what he called “Buddhist

metaphor.”

Its beginnings can be found in his meditations on the “inner Silla” and the

Buddhist notion of “inyeon” (karmic connection). While it is possible to speculate

on the nature of this “Buddhist metaphor,” it is difficult to define it precisely—

because Seo Jeong-ju’s understanding of Buddhism was fundamentally rhetorical,

and expressed almost entirely in poetic form.

서양 문학이 곧 근대문학으로 인식되는 과정 속에서 ‘근대성’이 곧 서구 정신과 문화의 전

적인 이식으로 표현될 때 상대적으로 간과되는 것은 초창기 문학사에서 불교가 개입한 전통주

의와 문화적 민족주의의 탄생과정이다. 불교는 가장 전통적인 종교로서 자체적으로 ‘근대적

지식’과 ‘담론’으로 성장해 가면서 한국 현대문학의 내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확인된

다. 본고는 이러한 ‘불교’ 한국의 현대문학에 끼친 영향과 그 세부적 내용을 석전 박한영과 한

용운, 그리고 미당 서정주의 관계 그리고 그들의 관계를 맺어주는 불교의 ‘근대화’ 과정이라는

역사 속에서 확인하고 밝히고자 한다.

당시 석전 박한영의 위치는 ‘불교와 현대문학’의 상관성 속에서 본다면 ‘위기와 격변’의 상

황 속에서 한용운과 최남선, 더 나아가서는 ‘전통’과 ‘근대’라는 서로 다른 시스템을 ‘조선’이

라는 ‘실체’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했다. 유심과 님, 유신과 침묵

사이의 긴장처럼, 하나의 표상은 균질적인 것들의 종합이 아니라 알고 보면 서로 상이한 충동

들의 봉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조선’이라는 실체를 ‘신성한 것’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

에서 ‘국토’와 ‘자연’이라는 구체적 표상이 발견되고 그것이 문학적 대상이 되는 것처럼, 한용

운의 ‘님’ 또한 ‘조선’, ‘불교’, ‘전통’, ‘진리’가 구체적 표상으로 나타난 ‘문학적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현대문학이 서구 정신 혹은 근대 정신의 이식과 그 산물이라고 말하는 견

해에서 간과되는 것은 그러한 근대성이 구체화된 표상으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투여된 기존의

‘문화 전통’인데, 1915년을 전후로 한 시점 이후부터 근대적 불교 지식인의 활동은 이런 문화

전통의 한 축을 적극적으로 담당하고 있었다. 1895년 ‘승니입성금지령’이 해제되면서 불교계

종교활동과 문화운동이 조선의 도성 ‘한양’과 식민지 도시 ‘경성’이라는 공간에서 비로소 가능

하게 되었다. 불교’가 근대적 종교로 스스로를 혁신하려고 할 때, 가장 커다란 과제는 신학문

습득, 근대적 교육기관 설립, 통일된 단체 구성, 인쇄, 출판 등의 근대적 미디어 제도를 갖추

는 것이었다. 1910년대 식민지 도시 경성의 중심지인 종로(수송동)일대에서 불교계 활동은 당

시 문화 활동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던 ‘문학계’와 연결될 수밖에 없었는데, 양건식, 최남선,

정인보, 이광수 등의 불교계 입문이나 교류는 그런 사실을 반증하는 사실 중 일부이다. 경성

에서의 문화 활동이 ‘불교 유신’의 큰 핵심축을 이루게 되는 과정은, 승려의 도성 출입이 허가

되고 식민지화가 진행되면서 ‘불교’의 ‘산중 불교’ 체제가 새로운 도시 문화 활동으로서의 불

교, 불교 대중화로 전환될 뿐만 아니라 승려 교육의 중요성 증가로 인한 ‘교육기관’의 필요성

등 종단 자체의 근대적 제도 정비가 절실해짐으로써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런 전후의 상황을

고려해 보면, 한용운에게 불교의 유신은 불교의 선과 유심 사상을 바탕으로 ‘문화, 정치, 교

육, 사상’의 전반에 걸쳐 불교가 영향을 미치고 그 근대적 혁신을 주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1968년 8월 서정주는 그의 다섯 번째 시집 동천을 출간하면서 「시인의 말」이라는 서두의

글을 통해 제4시집 신라초에서 이미 시작된 그의 모종의 시적 모색이 동천을 통해 어느

정도 성취를 이루었다는 속내를 밝힌다. 여기에서 유난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불교에서 배운

특수한 은유법의 매력에 크게 힘입었음을 고백”한다는 표현이다. 서정주 스스로 ‘진경’이라고

말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신라초와 동천 두 시집이 발간된 1960년대는 서정주가 한

국의 대표적인 시인으로서 그 시적 매력과 완성도가 거의 정점에 이르던 시기라고 할 수 있

다. 한 마디로 서정주의 뛰어난 시적 성취의 핵심에는 그가 말한 ‘불교적 은유법’이 존재하며,

그 시작은 ‘신라의 내부’, 그리고 ‘인연’이라는 화두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서정주가 말하는

‘불교적 은유법’이 무엇인지는 추측은 가능하지만, 그 실체를 말하기는 실제로는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그의 ‘불교’에 대한 이해가 기본적으로 ‘수사학(은유법)’의 형태로 터득되었고 그것

이 고스란히 시의 형태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Bibliography
TBA
Kim-The Birt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Buddhism – Seokjeon, Manhae, and Midang’s-1766.pdf


ID: 1768 / 277: 2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Topics: K1. Group Proposal
Keywords: TBA

「'승려' 를 이야기하는 방법: 승려 행장에서 나타나는 꿈 화소의 양상과 기능」

Jin-kyung Choi

Dongguk University

이 글은 조선시대 승려 행장 109건을 대상으로 하여, 승려 행장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꿈' 의 서술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승려를 이야기하는 문법의 하나로 꿈 화소의 기능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승려 행장을 전수 조사한 결과, 꿈은 출생, 수행, 입적 등 승려의 인생에서 주요 전환점에 해당하는 대목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이를 종합해보면 승려의 일생을 서술할 때 꿈이 승려의 정체성과 초월성을 구체화하는 핵심적 서사 장치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특히 꿈의 등장 시점, 꿈을 꾸는 주체, 내용 및 유형, 기능을 기준으로 삼아 분류하고, 이를 유가 사대부의 행장 구조와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승려 행장에서 꿈이 갖는 특수성과 장르적 기능을 살펴볼 것이다. 승려 행장에서 꿈은 출생의 비범성 및 출가를 예고하는 태몽, 승려의 성향 및 법맥 등을 고지하는 계시몽, 입적을 예고하고 육신의 초탈을 증명하는 입적몽 및 사리몽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결과적으로 '승려' 라는 존재를 초월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의 승려 행장에 드러나는 특징이나 그 서사적 연원을 더듬어보면 중국의 고승전이나 더 나아가서는 인도의 불교 설화 등의 서사 전통과도 맞닿아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승려 행장에서 꿈 화소의 양상과 기능을 살펴 승려의 생애가 조형되는 서사적

문법을 분석함으로써 승려 서사의 구성적 특성과 형성 논리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불교적 서사 전통과의 연속성을 고찰하고, 유가 행장과의 비교를 통해 승려 행장의 독자적 서사 문법을 규명하고 그 문학사적 정위를 시도하고자 한다.

Bibliography
TBA
Choi-「승려 를 이야기하는 방법-176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