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erence Agenda
Overview and details of the sessions of this conference. Please select a date or location to show only sessions at that day or location. Please select a single session for detailed view (with abstracts and downloads if available).
Please note that all times are shown in the time zone of the conference. The current conference time is: 1st Aug 2025, 12:39:04am KST
|
Session Overview |
Session | ||
(181) Dealing with Memory
| ||
Presentations | ||
ID: 1667
/ 181: 1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Topics: K2. Individual Proposals Keywords: TBA 횔덜린과 김춘수 신화시의 ‘예수’의 의미: 칼 바르트의 신학적 관점으로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이 논문은 횔덜린(Friedrich Hölderlin, 1770~1843)과 김춘수(金春洙, 1922~2004) 신화시의(神話詩, Mythopoesie, 獨 Mythopoetische) ‘예수’의 의미를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의 신학적 관점으로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횔덜린과 김춘수는 모두 관념의 세계를 상징적 언어로써 심미적으로 형상화하는 형이상시(形而上詩, metaphysical poetry)의 창작을 통해 인간과 신의 본질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을 추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이들은 인성(人性)에 대한 성찰에서 깊은 존재의 심연을 발견하고, 인성의 한계를 극복하여 이상적인 존재로 거듭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신성(神性)에 대한 사유에 이른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성에 대한 사유는 순수한 존재란 무엇인가를 묻는 진리를 찾아가는 도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의 이러한 진리를 향한 시작의 여정은 신화시를 낳게 한다. 횔덜린과 김춘수의 신화시는 인류사에 대한 역사철학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예수의 죽음을 인간의 가장 큰 비극으로 인식한다는 것도 두 시인의 공통점으로 나타난다. 이에 이 논문은 횔덜린과 김춘수의 신화시의 ‘예수’의 의미를 밝히는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두 시인의 시세계의 본질을 관통하는 연구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를 하는 데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으로부터 신학적 개념을 원용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횔덜린은 튀빙엔 신학교에서 신학을 수학하였으며, 김춘수는 독학으로 라인홀트 니부어의 신학을 수학하여서, 이들의 시세계의 근저에 신학적 세계관이 놓여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은 예수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바르트에 따르면 하나님은 아버지, 아들, 성령의 세 가지 존재 양식으로 계시는 삼위일체적 주권이다. 이 삼위일체 하나님은 인간에게 ‘당신(das Du)’으로 다가와, 인간의 ‘나(das Ich)’와 만나 계시된다. 이때 하나님의 계시는 곧 말씀의 성육신(성육신)인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로 구체화된다.예수 그리스도는 참 하나님이자 참 인간으로서, 하나님이 인간의 본질과 현존재를 택하여 거룩하게 하는 존재이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하나님의 피조물로의 낮아지심'(Kondeszendenz)으로 보며,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이 인간 속에 현존하신다고 본다. 예수의 존재 자체가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자유이며, 이 자유는 하나님의 자기계시다.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과 동일한 존재로서 인간 세계에 들어오신 하나님의 자기증거이다. 바르트에 따르면, 인간이 자기 존재를 제대로 이해하고 참된 현존재의 의미를 깨닫기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계시를 받아들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창조자와 피조물이 합일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조는 시간의 시작이자, 인간이 하나님과 맺는 계약의 역사를 여는 출발점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와 더불어 존재하게 되었으나, 무(Das Nichtige)와의 대립을 통해 타락을 경험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 무(無)를 심판하시고, 이를 통해 피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를 이루신다. 이 통치가 바로 ‘하늘나라’이다. 바르트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사건이 바로 하나님과 인간의 화해를 이루는 핵심이며, 이 화해는 완전한 창조의 차원이 아닌 타락한 현실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수는 인간을 위한 하나님이자, 온전한 인간으로서, 인간 존재를 왜곡된 선택에서 구원하여 영원한 삶을 선사하는 존재이다. 칼 바르트의 이러한 신학적 관점으로 2장에서는 두 시인의 공통적인 세계관으로 신이 부재하는 시대의 의미가 논의될 것이다. 횔덜린은 이러한 시대를 ‘세계의 밤’으로 명명하였으며, 김춘수는 신이 죽은 시대로 인식하였다. 이처럼 신이 부재하는 시대, 인간의 깊은 심연의 발견을 두 시인의 출발점으로 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예수의 ‘죽음’의 의미를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 등의 시편과 김춘수의 「겟세마네에서」 등의 시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예수의 죽음은 두 시인에게 인류 최대의 비극이지만, 신학적으로는 인간의 타락에 대한 정죄이자 심판이다. 4장에서는 예수의 ‘부활’의 의미를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 등의 시편과 김춘수의 ‘예수 시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횔덜린의 시에서는 성체성사라는 예수 부활의 약속이기 때문에 세계의 밤은 예수의 재림을 기다리는 신성한 시간으로 재규정된다. 김춘수의 시에서는 인류의 종말을 연상케 하는 역사에서 예수의 심판이 올 것이라는 묵시록적 인식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횔덜린과 김춘수의 신화시의 ‘예수’의 의미의 비교 문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세계문학사에서 인류의 미래에 혜안을 제시하는 형시상시로서의 신화시의 가치와 인성과 신성을 통한 인간 존재의 성찰의 가치를 드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
TBA ID: 1707
/ 181: 2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Topics: K2. Individual Proposals Keywords: Han Kang, Space, Trauma, Memory, History Dealing with Memory: Response to Han Kang's question Yonsei University,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This essay discusses the uncanny materiality of the past, being rediscovered and often reconstructed to tell stories of the sites as locations of the memory of the nation. This essay addresses the disappearance of medium in history, focusing on how the historical past is re-created on the present space. The role of historical narrative, which used to work as an interstice between the two different time zones, is now being replaced by the immediate convergen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emporalities. The uncanniness is detected in actions such as passing without meeting, seeing without looking and meeting without touching, and imagining that the space is entered and experienced.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such (im)medium, this essay reviews the thoughts on history and historical past, mainly proposed by Walter Benjamin, who demonstrated a new model of time in his unfinished collection of notes and citations now comprised under the title of Das Passagen-Werk (The Arcade Project). According to Benjamin, time progresses in accumulative fashion rather than a linear mode. Focusing on the role of medium, this essay discusses how history is no longer working as a medium, but space is being used as a nodal point where the two different timelines, memories and experiences concur. To be more precis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space intervenes history in the name of historiography. The diminishing role of mediator found at the actual sites of historicization in Seoul will be reviewed in connection to Han Kang's question, articulated at her Nobel Prize Lecture. Bibliography
1)Kim, JeeHee. "Arisa/Alissa: Han Youngsoo’s Myŏngdong in the 1950s." Munhakgwa Yeongsang(Literature and Film), vol. 26, no. 1, 2025, pp. 241–262. 2) "The Uncanny Future of the Anthropocene."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29, 3, 2024, 151-171. 10.19116/theory.2024.29.3.151. 3) "The sartorial uncanny in the postcolonial space of Joseon."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24. ID: 1756
/ 181: 3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Topics: K2. Individual Proposals Keywords: Fernando Pessoa, Heteronyms, Mensagem, semiotics, mythical signs Reading the signs in Fernando Pessoa’s Mensagem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Mensagem, Fernando Pessoa's only book published in Portuguese during his lifetime, praises the national “heroes” of his native Portugal and celebrates their achievements. Some of his avant-garde colleagues criticized the work for its nationalism, as it mythologizes national heroes to an excessive degree. However, if we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poem, it is not simply a hymn to national heroes, but contains several symbols in its structure. First of all, Pessoa's Mesagem is divided into parts 1, 2, and 3. The first part is “The Coat of Arms (of the nation),” the second part is “The Sea of Portugal,” and the third part is “Discovery.” In particular, Part 1, “The Coat of Arms,”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lag of Portugal at the time. Part 1 consists of five chapters: 1. Land, 2. Castle, 3. Five castle marks, 4. Crown, 5. Insignia, and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poems in each chapter, you can see that it consists of two lands, seven castles, five castle marks, one crown, and three insignia, just like the Portuguese coat of arms. In terms of content, the book relates the meaning of the Portuguese coat of arms to historical figures and mythology, starting from the time before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rough the first dynasty, when the Portuguese were focused on conquering the Moors, to the second dynasty, when they began their maritime expansion. We will analyze the signifier-signified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external structure, or form, and the internal content, and read the symbols and signs that are both concealed and revealed through the structure. Bibliography
Barthes, Roland(2013), Mythologies: The Complete Edition, in a New Translation, trad. Richard Howard & Annette Lavers, new york: Hill and Wang. —--(1997) Elements of Semiology, trad. Annette Lavers & Colin Smith, new york: Hill and Wang. Pessoa, Fernando (2010), Mensagem, Porto:Assírio &Alvim.
|